{"type":"img","src":"//cdn.quv.kr/klmfa79o3/up/621487f79e257_1920.png","height":35,"scroll":"//cdn.quv.kr/klmfa79o3/up/62143a23b172e_1920.png"}
  • ABOUT
  • ACCELERATING
  • PORTFOLIO
  • ARCHIVE
  • CONTACT US
  • {"google":["Noto Sans"],"custom":["Noto Sans KR"]}
    ×
     
     
    섹션 설정
    • ABOUT
    • ACCELERATING
    • PORTFOLIO
    • ARCHIVE
    • CONTACT US
     
     
    섹션 설정
    {"type":"img","src":"https://cdn.quv.kr/klmfa79o3/up/5d91efda7beef_1920.png","height":"30"}
  • Team
  • Accelerating
  • Portfolio
  • Newsroom
  • Contact Us
  • WHAT IS SCALE UP ?

    골드아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스케일업 코리아”의 도입배경

    ▷ 초기 창업기업(스타트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공동의 협력이 필요

    - 일반적으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비즈니스 모델, 제품, 마케팅, 브랜딩, 재무, 회계, IT 인프라, 조직, 제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 역량을 갖춰야 합니다. 초기 창업기업은 상당 부분에서 이런 역량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고 지원할 수 있는 성장 플랫폼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 초기 창업기업이 지속적으로 생존하는 계속기업 생태계와 스케일업 분위기 조성, 실질적인 기업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 플랫폼, 전문가, 미디어, 대기업, 투자사, 공공 기관이 협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스타트업 성장을 위해 필요한 역량과 자원
    (출처 : https://www.growthwheel.com/)

    ▷  기존 공공 기관의 지원은 혜택이 특정 기업에 한정

    - 공공 기관이 전문가를 고용해 기업을 멘토링하는 기존의 지원 사업은 특정 기업만 혜택을 보는 한계가 있으며, 유사한 문제를 가진 기업이 참조할 자료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 초기 창업기업을 위해 대기업 등 수요처 알선, 공공 구매, 매칭 펀드 투자, 기술 개발 지원 등 다양한 지원도 특정 기업만 혜택을 보는 구조이며, 대체로 1회성 지원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  스케일업 플랫폼 구축을 통한 계속기업 생태계 구축

    ▪초기 창업기업 지원의 지속성, 유사 사례에 대한 솔루션의 공유와 전파, 상시적인 수요 매칭, 적정 투자 유치 등을 지원하는 스케일업 플랫폼 구축이 필요합니다.

    ▪초기 창업기업은 전문가와 대기업으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뿐 아니라 미디어를 통해 기업 브랜드와 비즈니스가 홍보됨으로써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케일업 플랫폼은 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뿐 아니라 작은 기업이라도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계속기업 생태계를 조성, 향후 유니콘이 탄생하는 든든한 토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특정 기업에 장기간 지원을 집중되더라도 해당 기업의 성과가 사례와 모델이 되어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공유되고 소통되기 때문에 유사한 문제를 가진 기업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초기 창업기업과 콘텐츠 플랫폼 소통을 통해 수요가 발생할 경우 교육 과정을 편성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역량 강화 뿐 아니라 유사 기업 간, 선발-후발 기업 간 네트워크도 형성 가능합니다.

    [그림] 스케일업 플랫폼은 공공의 지원을 받아 경영전문가, 미디어, 콘텐츠플랫폼, 대기업, 투자자 등이 참여하는 기업 성장 플라이휠로서 역할을 함

    골드아크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스케일업 코리아”의 도입배경

     

    ▷ 초기 창업기업(스타트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공동의 협력이 필요

     - 일반적으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비즈니스 모델, 제품, 마케팅, 브랜딩, 재무, 회계, IT 인프라, 조직, 제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 역량을 갖춰야 합니다. 초기 창업기업은 상당 부분에서 이런 역량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고 지원할 수 있는 성장 플랫폼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 초기 창업기업이 지속적으로 생존하는 계속기업 생태계와 스케일업 분위기 조성, 실질적인 기업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 플랫폼, 전문가, 미디어, 대기업, 투자사, 공공 기관이 협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1] 스타트업 성장을 위해 필요한 역량과 자원  

    (출처 : https://www.growthwheel.com/)


    ▷  기존 공공 기관의 지원은 혜택이 특정 기업에 한정

    - 공공 기관이 전문가를 고용해 기업을 멘토링하는 기존의 지원 사업은 특정 기업만 혜택을 보는 한계가 있으며, 유사한 문제를 가진 기업이 참조할 자료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 초기 창업기업을 위해 대기업 등 수요처 알선, 공공 구매, 매칭 펀드 투자, 기술 개발 지원 등 다양한 지원도 특정 기업만 혜택을 보는 구조이며, 대체로 1회성 지원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은 편입니다.

     

    [그림 2] 스타트업의 성장 라이프 사이클

     

    ▷  스케일업 플랫폼 구축을 통한 계속기업 생태계 구축

    ▪초기 창업기업 지원의 지속성, 유사 사례에 대한 솔루션의 공유와 전파, 상시적인 수요 매칭, 적정 투자 유치 등을 지원하는 스케일업 플랫폼 구축이 필요합니다.

    ▪초기 창업기업은 전문가와 대기업으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뿐 아니라 미디어를 통해 기업 브랜드와 비즈니스가 홍보됨으로써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케일업 플랫폼은 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뿐 아니라 작은 기업이라도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계속기업 생태계를 조성, 향후 유니콘이 탄생하는 든든한 토양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특정 기업에 장기간 지원을 집중되더라도 해당 기업의 성과가 사례와 모델이 되어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공유되고 소통되기 때문에 유사한 문제를 가진 기업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초기 창업기업과 콘텐츠 플랫폼 소통을 통해 수요가 발생할 경우 교육 과정을 편성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역량 강화 뿐 아니라 유사 기업 간, 선발-후발 기업 간 네트워크도 형성 가능합니다.

     

    [그림 3] 다수의 전문기관들이 함께 협업하는 기업성장 플라이휠

     

    스케일업 코리아(Scale-up Korea)는 ‘높은 성장성’에 집중합니다.

     

    ‘하버드 창업가 바이블’의 저자인 다니엘 아이젠버그(Daniel Isenberg) 박사는 ‘스타트업 (창업)은 중요하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스케일업(성장)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  스케일업 기업(Scale-ups)은 고용이 10명 이상이면서 매출 또는 고용이 3년간 평균 20% 이상 성장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OECD가 2009년 고성장 기업(High-Growth Enterprises)으로 소개 한 바 있으며, 2014년 영국의 SherryCoutu가 ‘Scale-ups’로 이름 붙이면서 대중화 되었습니다. 스케일업 기업은 업력, 규모 또는 산업 분류로 제한하지 않고 ‘높은 성장성’에 집중하는 개념이며 이 중 업력 5년 이내를 ‘가젤(Gazelle) 기업’으로 구분합니다.

     

    ■ 소수의 스케일업 기업이 생성하는 신규 일자리창출 임팩트는 범 국가적인 수준입니다.
        - (미국) 5% 고성장 기업, 신규 일자리 2/3를 창출(Kauffman Foundation, ‘10)
        - (영국) 6% 고성장 기업, 신규 일자리 54%를 창출(NESTA, ‘09)
        - (한국) 9.8% 고성장 기업, 신규 일자리 33.4%를 창출 (중소기업청, ’14)

     

    ■ 주요 선진국에서는 경제성장과 일자리창출을 위해 ‘스타트업’ 지원 정책에서 ‘스케일업’ 지원 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며, 경기 침체기에는 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해 ‘새로운 기업’이 필요했지만, 글로벌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면서 기존 기업의 ‘새로운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지원 방향을 변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 '스타트업, 스케일업의 혁신성장 및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2018' - 딜로이트안진]

     

     

     

    액셀러레이터 ㈜골드아크는 스케일업 코리아(Scale Up Korea)의 파트너로서 대한민국 초기 스타트업의 ‘지속 성장’을 목표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비즈니스 모델 분석, 취약점 도출 및 개선 방안 수립, 투자 유치 등 일련의 스케일업 코리아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ACCELERATING MAP of GOLDARK

    GLOBAL SCALE UP ACCELERATOR GOLDARK

    STEP-BY-STEP TRAINING PROGRAM

    · 기간 : 기업당 1년 이내

    · 대상기업 선정 기준 : 국내외 시장에 제품과 서비스 출시 후, 매출은 발생하나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

    · 선정 절차 : 서류심사 → 발표심사 → 심층 인터뷰 → 스케일업 선정위원회 → 최종선정

    · 주요 내용
       - 네이버 ‘비즈니스’ 판 內 기업소개 및 비즈니스모델 전문가 분석 게재 (3주)
       - 독자, 전문가/기업 의견수렴을 통해 핵심과제 도출, 문제해결 (1주)
       - 과제 해결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 기업 네트워크 연결 및 협력 (3주 이상)
       - 스타트업의 솔루션 적용 과정 추적 소개 (6개월)
       - 프로젝트 이후 성장 성취에 대한 소개 (3개월)

    · 기타
       - 지원 분야나 창업 연수, 매출액 등 기존 제한과 제약 없이 신청 가능
       - 차별적 고객가치와 확장성 보유, 고성장이 가능한 스타트업, 스케일업 코리아 프로젝트 취지를 잘 이해하고 적극적인 기업 우선 선발

    {"google":["Noto Sans","Ubuntu"],"custom":["Noto Sans KR","SCDream"]}{"google":["Noto Sans","Ubuntu"],"custom":["Noto Sans KR","SCDream"]}
    {"google":[],"custom":["Noto Sans KR"]}